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광복회 소개비

유형
동상·부조 | 비석
주소
울산광역시 북구 송정동 355

사적지 지도 안내

길찾기   |   로드뷰

사적지 개요

광복회소개비는 대한광복회의 설립과 활동 및 회원 목록을 알리는 사적이다. 대한광복회는 1915년 7월 대구에서 결성된 독립운동단체이다. 한말의병 계열과 계몽운동 계열이 연합 결성한 단체로, 1913년 경상북도 풍기에서 조직된 광복단과 1915년 대구에서 조직된 조선국권회복단이 중심이 되었다. 만주에 무관학교를 설치하고 독립군을 양성해 독립을 쟁취하려 했다. 초기에는 군자금 모집 활동에 주력했으며 친일세력들을 처단하는 의협투쟁도 전개했다. 1918년 총사령관 박상진을 비롯한 5명이 사형선고를 받고 다수의 회원이 체포되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 국내 독립운동조직이던 대한광복회는 1920년대 광복단결사대와 주비단으로 계승되었다.

인물정보

성명
권영만
한자명
權寧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7 ~ 1950
본적
경상북도 영덕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 3 김세영의 권유로 영덕에서 만세시위를 전개하며 경찰서 우편소 면사무소 등을 습격하고 서장 이하 순사들을 구타하다 체포되어 대구에서 징역 2년을 판결받고 복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동호
한자명
金東鎬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강원도 삼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0년대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의 회원이 되어 강원도 지역의 자산가들을 조사하여 포고문을 발송하는 등 강원도지역의 활동을 주관하다가 1918년 체포되어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선호
한자명
金善鎬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3 ~ 1924
본적
평안남도 개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23년 참의부(參議府)에 입대하여 제1중대(中隊) 2소대 1분대에서 활동하면서 1924년 분대장 안정길(安貞吉)의 인솔하에 평안북도(平安北道) 강계군(江界郡)에 있는 흑연광 사무소(黑鉛鑛事務所)를 습격(襲擊)하고 적우편물 탈취, 일본목재사 소각 등의 활동을 하다 일경(日警)과 조우하여 교전(交戰) 중 전사 순국(戰死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김선호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좌진
한자명
金佐鎭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9 ~ 1930
본적
충청남도 홍성
포상훈격
대한민국장
포상년도
1962

공적개요

1. 1905년 16세 때에 호명학교를 설립하여 육영 사업(育英事業)에 종사함 2. 동년 10월 입경하여 윤치성(尹致晟), 노백린(盧伯麟) 등과 조직적 독립운동의 전개를 기도하여 홍성(洪城)에 대한협회지부(大韓協會支部)를 설치하고 민족운동에 진력하는 한편 기호흥학회(畿湖興學會)를 창설하여 유능한 자제를 뽑아 서울에 유학케 함 3. 1907년 이창봉(李昌奉) 설립의 고아원 총무 및 한성신보 이사(漢城新報理事)를 역임하여 국혼 고취(國魂鼓吹)에 진력함 4. 1908년 박상진(朴尙鎭)과 광복단(光復團)사건으로 3년을 복역 후 간도(間島)로 건너감 5. 3.1운동(運動) 당시(當時) 동만주(東滿洲)의 왕청현(旺청縣)에서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를 조직(組織)하고 총사령(總司令)으로 활동(活動)하였으며 사관연성부(士官鍊成部)를설치(設置)하여 독립군 간부양성(獨立軍幹部養成)에 진력(盡力)함 6. 1920년 9월 동지 나중소(同志 羅中昭), 이범석(李範錫)등과 더불어 청산리 작전(靑山里作戰)에 참가(參加) 10배의 왜적(倭敵)을 대파(大破)하여 사상(死傷) 3천3백여명의 전과(戰果)를 거둠 7. 1922년 6월 중동선소분하지구(中東線小芬河地區)에서 사관양성(士官養成)에 주력(注力)함 8. 1926년 김혁(金赫)등과 더부러 신민부(新民部)를 조직(組織)하여 활동(活動)함 9. 1927년 중국 구국군 사령관 양우일(中國救國軍司令官楊宇一)과 회담(會談)하고 공동전선(共同戰線)을 취(取)하였으며 10. 동년8월 국민당동삼성(國民黨東三省) 공작 책임자(工作責任者) 공패성장령(貢沛城將領) 악유사(岳維唆)과 회담(會談)하고 한중연합군(韓中聯合軍)을 조직(組織)하였으나 장작림(張作霖)의 탄압(彈壓)으로 실패(失敗)함 11. 1929년 정신(鄭信), 민무등(閔武等)과 중동선 일대(中東線一帶)에서 한족연합회(韓族聯合會)를 조직(組織)하고 주석(主席)으로 활동중(活動中) 동년음(陰)12월25일 고려공산청년회원(高麗共産靑年會員) 주중한인청년동맹원(駐中韓人靑年同盟員) 박(朴)상업(일명 김신준)의 권총 저격(拳銃狙擊) 피살(被殺)됨(향년 41재(才))

인물정보

성명
김한종
한자명
金漢鍾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3 ~ 1921
본적
충청남도 예산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

공적개요

1. 광복단(光復團) 단원(團員), 무기구입, 군자금 모집에 활약, 충청도지부장(忠淸道支部長) 2. 1918년 1월 24일 충남(忠南) 아산군(牙山郡) 도고(道高)(곡(谷))면장(面長) 박용하(朴容夏)를 임봉주(林鳳柱), 김경태(金敬泰)를 시켜 살해함. 3. 체포되어 광복단장(光復團長) 박상진(朴相鎭)과 함께 대구형무소(大邱刑務所)에서 사형 집행됨.(동아일보(東亞日報) 1921.8.13.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92, 항일구국의열사전(抗日救國義烈士傳) p.72)

인물정보

성명
손일민
한자명
孫逸民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84 ~ 1940
본적
경상남도 밀양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8. 만주(滿洲) 길림성(吉林省)에서 39인의 서명으로 독립선언을 발포(發布)할 때 그 중 1인으로 활동하고 1937 임시정부(臨時政府) 의정원(議政院), 상임위원(常任委員)으로 피선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우재룡
한자명
禹在龍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4 ~ 1963
본적
경상북도 경주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

공적개요

1. 의병장(義兵將) 정용기(鄭鏞基)의 연병장(練兵將)으로 무기 유형(無期流刑) (합병(合倂)때 특사(特赦)) 2. ‘광복단’(光復團)에 가입 총무(總務), 지휘장(指揮長), 군자금 모집(軍資金募集) 3. 피체되어 무기징역(無期懲役)언도 1937년 출옥 전후 16년간 복역 (기려수필(騎驢隨筆) 141p, 41p,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92, 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 p.72, 동아일보(東亞日報) 1922.4.14 ~ 3.27)

인물정보

성명
이관구
한자명
李觀求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5 ~ 1953
본적
황해도 송화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3년 음 4월 광복회원(光復會員)으로서 서간도(西間島)에 무관학교(武官學校) 설립할 것을 이시영(李始榮)과 계획하고 1916년 음 6월 성낙규(成樂奎) 등에서 권총을 수교 총독 암살을 지령하는 등 활동하다 서간도(西間島)에서 일헌에 체포되어 내란예비 살인예비 등 수모죄로 5년형이 상고심에서 확정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병찬
한자명
李炳燦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5 ~ 미상
본적
함경남도 장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2

공적개요

1919년 3월 14일 함남(咸南) 장진군(長津郡) 신남면(新南面) 고토리(古土里)에서 독립만세 운동(獨立萬歲運動)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8월을 받고, 1년 1월 1일간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이병찬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진룡
한자명
李鎭龍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9 ~ 1918
본적
황해도 평산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2

공적개요

1. 1905년 박세빈(朴世彬) 조맹선(趙孟善)과 함께 평산(平山)에서 의병운동 일으켰음 2. 그 뒤 만주(滿洲)로 건너가 활약하더니 관전현(寬甸縣)에서 체포되어 평양(平壤)감옥에서 사형되었음

이진룡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정순영
한자명
鄭舜永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2 ~ 1941
본적
경상북도 성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김기한(金起漢) 등과 같이 유하현(柳河縣)에 본부를 두고 경성(京城)과 각 도(各道)에 지단 설립(支團設立)을 계획 진행중 피검되어 경성지방법원(京城地方法院)에서 2년의 판결을 받다(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288)

정순영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조현균
한자명
趙賢均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1 ~ 1949
본적
평안북도 정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5년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 평안도 지부장(平安道支部長)으로 구국 운동(救國運動)에 앞장섰고 1919년 4월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 정주 지단장(定州支團長)으로 임명(任命)되어 군자금(軍資金) 모집(募集)과 친일파(親日派) 처단(處斷) 등 활동(活動)하다가 1921.3월 왜경(倭警)에게 체포되어 1년4월간(月間)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조현균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채기중
한자명
蔡基中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3 ~ 1921
본적
경상북도 상주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

공적개요

1. 광복단원 경상도지부장 2. 1917년 11월 10일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장승원(張承遠) 살해를 기도하고 강창순(康昌淳), 임봉주(林鳳柱), 강순필(姜順必)을 보내어 살해함 3. 1918년 상해(上海)로 망명하려다 피체되어 서대문형무소(西大門刑務所)에서 사형 집행됨 (경북(慶北)경찰부비사(秘史)사본, 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 p.332)

인물정보

성명
최봉주
한자명
崔鳳周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5 ~ 1923
본적
함경북도 길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0

공적개요

1921년 음력 4월 함북(咸北) 길주군(吉州郡)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았고 1923년 중국(中國) 간도(間島) 연길현(延吉縣)에서 적기단원(赤旗團員)으로 활동하던 중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최봉주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최준
한자명
崔浚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4 ~ 1970
본적
경상북도 경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7년 광복단(光復團) 군자금(軍資金) 모집(募集)에 관련(關聯), 체포(逮捕)되어 1918. 10. 19. 면소(免訴)로 석방(釋放)된 후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恢復團) 중앙총부(中央總部) 조직(組織)에 참여(參與)하고 군자금(軍資金)을 헌납(獻納)하였으며, 백산무역주식회사(白山貿易株式會社)의 취체역(取締役) 사장(社長) 및 지배인(支配人)으로 상해임정(上海臨政)에 군자금(軍資金)을 보내고 1921. 9월에는 워싱톤 태평양회의(太平洋會議)에 보낼 청원서(請願書)에 경주대표(慶州代表)로 서명(署名)하는 등 활동(活動)함

3.1운동

사건설명

3.1운동은 우리 민족이 일제의 식민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기미년) 3월 1일 전후로 일으킨 거족적인 독립 만세운동이다.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일본 도쿄의 2.8 독립선언, 고종의 인산일 등을 계기로 계획되어, 마침내 3월 1일 서울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에 의한 독립선언서 낭독과 더불어 탑골공원에서 학생들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 시위행진을 벌이며 거행되었다. 이날의 거사는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만주, 북미 등 해외 등지에서도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세계에 우리 민족의 실상을 알림과 동시에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자주 독립사상 고취 등의 의의를 거두었으나, 동시에 일제가 민족 분열을 위해 무단통치 방법을 문화통치로 바꾸는 원인이 되었다.

애국계몽운동

사건설명

애국계몽운동은 교육과 산업, 언론 진흥을 통해 민족의 실력을 키워 국권을 수호하려는 운동으로, 지식인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였다. 대표적인 단체로는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신민회가 있다.
이와 같은 애국계몽단체의 활동으로는 <제국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 신문과 <대한자강회월보>, <대한협회회보> 등 기관지 또는 학회지 발간을 통한 민중계몽운동이 있다. 또한 보광학교, 한남학교 등 학교 설립과 <보통교과동국역사>, <동국사략>, <대동역사략> 등 교과서 편찬을 통한 교육계몽운동, 그리고 국채보상운동 등의 경제구국운동 등을 펼치며 국력을 키우고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한국 광복군

사건설명

한국광복군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규 군대로, 1919년부터 군사조직법 제정을 통해 임시정부의 군대를 창설하려는 노력이 존재했으나 마침내 임시정부가 중국 충칭에 정착하면서 김구 등의 주도하에 1940년 창설되었다. 총사령에 지대형, 참모장에 이범석, 총무처장에 최용덕 등이 임명되었다. 창설 당시 병력은 30여 명에 불과했으나 병력 모집에 몰두하고 1942년 조선의용대의 편입을 거쳐 1945년 4월경에는 564명으로 확대되었다. 1945년, 임시정부의 주석이던 김구는 미국전략사무국 책임자와 공동작전을 협의하여 한국광복군을 국내에 침투시키는 국내진공작전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실행에 옮기기 전, 일본이 항복을 선언하며 한국광복군의 진공작전은 무산되었고, 1946년 해체되었다.

한말 의병운동

사건설명

항일의병운동에는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이 있다.
1895~1896년의 을미의병은 조선 말기 최초의 대규모 항일의병으로, 을미사변 후 왕후폐위조칙 발표, 단발령 시행을 계기로 일어났다.
전국 각지에서 봉기하여 대개 그 지방의 유명한 유생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대표적으로 유인석, 이필희, 서상렬을 비롯하여 춘천의 이소응, 이천과 여수의 박준영과 김하락, 강릉 여주의 민용호 등이 활약하였다.
1905~1906년의 을사의병은 러일전쟁 발발, 한일의정서 체결 등으로 고조된 항일의식이 1905년 을사늑약 강제 체결을 계기로 폭발한 구국항일의병이다.
대표적으로 최익현 의병진, 신돌석 의병진과 더불어 민종식과 안병찬 등이 주축이 된 홍주의병, 그리고 정환직, 정용기 부자의 산남의진 등이 있다.
1907~1910년의 정미의병은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 체결, 대한제국군대 강제해산 등을 계기로 발생하였다. 특히 1907년 8월 강제로 해산된 군인들의 대일항전에서 비롯되었고, 1906년 후반으로 접어들며 기세가 누그러졌던 을사의병이 이를 계기로 하여 거국적으로 확대 및 발전하였다. 원주진위대 해산군인 민긍호와 박준성, 경상북도의 이강년과 신돌석, 경기도의 허위와 연기우, 장성의 기삼연, 함평의 김태원과 심남일, 무주의 문태수, 임실의 이석용 등이 활약하였다.

의열단/의열투쟁

사건설명

의열투쟁이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일제를 상대로 벌인 무력 투쟁을 일컫는다.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이어졌고, 한국 독립운동사의 매우 중요한 항일 투쟁 방식 중 하나이다.
의열단은 의열투쟁을 전개한 대표적인 단체이다. 1919년 만주에서 조직된 항일 무력독립운동 단체로, 김원봉, 윤세주, 황상규 등이 활동하였다. 1919년의 거족적인 3.1운동을 겪은 뒤, 해외로 독립운동기지를 옮긴 애국지사들은 강력한 일제의 무력에 대항해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보다 조직적이고 강력한 독립운동단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계기로 1919년 11월 의열단이 조직되어 1920년대에 활발히 활동하였으며, 조국 독립을 위해 과격한 적극 투쟁과 희생정신을 강조하였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조선총독부 투탄의거, 종로경찰서 폭탄누척의거 등이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건설명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부터 1945년까지 민주공화제의 독립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주권 자치를 실현하였던 임시정부이다.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되기 전부터 임시정부 수립에 대한 요구가 존재했으나, 3.1운동과 동시에 임시정부 수립 운동이 일어나면서 마침내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수립되었다. 각료에는 임시의정원 의장 이동녕, 국무총리 이승만, 내무총장 안창호, 외무총장 김규식, 법무총장 이시영, 재무총장 최재형, 군무총장 이동휘, 교통총장 문창범 등이 임명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는 등 외교활동과 더불어 이봉창과 윤봉길의 의거와 같은 의열투쟁, 육군무관학교 및 비행사양성소 설립, 한국광복군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학생독립운동

사건설명

우리 민족이 1945년 독립을 이루기까지 학생들은 조국 독립을 위해 여러 투쟁을 계속하였다.
구한말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학생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국권 수호를 위한 투쟁의 선봉에 섰으며, 농촌계몽 및 야학 등의 활동으로 국민의 자주 의식을 고취했다. 1919년 2월 8일에는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들이 모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고, 그 영향을 받은 3.1운동 또한 유관순, 어윤희 등 학생들을 주체 세력으로 전개되었다. 1926년에는 학생 중심의 6.10만세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전문학교 학생 이병립, 이병호, 이천진, 박두종 등과 중앙고보와 중동학교 학생 박용규, 곽대형, 김재문 등의 학생들이 주도하여 전개되었다. 1929년 10월에는 나주역에서 일본인 학생들이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 박기옥, 이금자, 이광춘 등을 희롱하는 사건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났고, 이것이 확산되어 대구, 부산 등 주변 지역에서도 학생항일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밖에도 부산의 노다이사건, 대구사범학교 왜관사건 등 학생들이 주도하여 일어난 여러 항일운동으로 하여금 학생들의 조선독립정신은 지속되어 왔다.

동학농민혁명

사건설명

동학농민혁명은 최제우가 창시한 동학에 기초를 둔 반봉건, 반외세적 성격의 농민민중항쟁이다. 1894년에 전라도 고부의 동학 접주 전봉준을 지도자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켰다. 총 2차에 걸쳐 전개되었는데, 1차 봉기는 전라도 고부 지방의 관리 조병갑의 횡포와 동학교도 탄압에 대항하여 발생하였고, 이후 동학군의 해산에도 불구하고 일제가 내정간섭, 청일전쟁, 갑오개혁 등을 강행하자 반외세를 외치며 2차로 봉기하였다. 그러나 결국 우금치전투에서 관군과 일본군에 패하고 1895년 1월 전봉준에 이어 손화중 등 동학농민 지도부 대부분이 체포되고 교수형에 처해지면서 동학농민혁명은 실패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은 후에 일어난 항일의병항쟁의 중심 세력이 되었다.

국내 항일 운동

사건설명

조선 땅에 잔혹한 일제의 지배가 드리워진 암울한 시기에도 우리 민족은 독립을 목적으로 주력하기를 그치지 않았다. 독립지사들은 국내 독립운동을 위한 여러 단체를 조직하였는데, 기독교 등 종교와 결합하거나 농민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는 등 성격이 다양했다. 그들은 친일부호를 처단하고 독립군을 양성함과 동시에 3.1운동의 계획을 세우거나 군자금을 모집하여 국내 독립운동단체의 존속을 지원하였다. 더불어 선전물을 배포하고 야학을 설치하여 식민지 수탈의 실상과 독립 달성을 역설하며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해외 항일 운동

사건설명

독립운동을 위한 열망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들끓었다. 우리 민족은 구주(유럽), 노령(러시아의 시베리아 일대), 만주, 미주,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등에서 활동하며, 위치한 곳과 상관없이 오직 조국 독립의 목적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쳐 독립운동에 매진하였다.
독립지사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항일의식교육을 펼치고 독립군 양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프랑스의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청원서를 보내고 유럽 등지에 우리 민족의 참혹한 실상을 알리는 등, 여러 방면에서 조국의 독립을 호소하였다.

기타

사건설명

1894년 동학농민운동을 시작으로 1945년 광복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은 오직 정의롭고 자주적인 국가를 위해 힘써왔다. 우리는 그 과정에서 목숨을 바쳐 투쟁하고 희생된 애국지사들의 넋을 기리고 그 흔적을 기억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