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항일운동
사건설명
국내항일운동
사건설명
TOTAL. 729 건
변영로 집 표지석
변영로(1898~1961)는 일제강점기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문학가이다. 1919년 3·1운동 때는 YMCA의 구석진 방에서 일본 경찰의 눈을 피해 가며 「독립선언문」을 영역하여 해외로 발송하는 일을 하였다. 1920년 『폐허』 동인(同人)으로 활약하며 문단에 데뷔하였다. 1922년 이후 『개벽』지를 통해 해학이 넘치는 수필을 발표하였으며, 발자크의 작품 등 해외 문학을 국내에 번역·소개하였다. 1924년 일제 식민지 지배하의 민족적 울분을 노래한 시집 『조선의 마음』을 출간하였고, 1927년에는 백두산을 여행한 후 「두만강 상류를 끼고 가며」, 「정계비」, 「천지(天池) 가에 누워」 등 10여 편의 시를 발표하였다. 1931년 미국으로 건너가 캘리포니아 산호세대학에서 수학하였다. 1933년 동아일보사에 입사하여 『신가정』 주간으로 재직하였다. 그러나 『신가정』 표지에 손기정 선수의 다리만을 게재하고 ‘조선의 건각’이라는 제목을 붙이는 등 일본 총독부의 비위를 건드려, 결국 일본 총독부의 압력으로 동아일보사를 떠나야만 했다. 광복 후인 1946년 성균관대학교 영문과 교수로 부임하였다. 이후 서울신문사 이사, 대한공론사 이사장,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초대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1961년 3월 14일 인후암으로 별세하였다. 변영로는 친일 문학 연구가 임종국에 의해 “일제강점기의 지식인 중 지조를 지킨 몇 안 되는 문인”이라는 평가를 받았을 정도로 일제의 탄압에도 굽히지 않고 민족의 저항 정신을 노래한 시와 수필을 발표하였다. 1922년 발표한 「논개」는 변영로의 대표적인 시로, 진주성 촉석루에서 왜장 게야무라 로구스케[毛谷村六助]를 껴안고 남강으로 떨어져 죽은 논개(論介)의 애국충절을 노래함으로써 일제에 대한 저항 의식을 잘 드러내고 있다.
수주로 표지석
변영로(1898~1961)는 일제강점기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문학가이다. 1919년 3·1운동 때는 YMCA의 구석진 방에서 일본 경찰의 눈을 피해 가며 「독립선언문」을 영역하여 해외로 발송하는 일을 하였다. 1920년 『폐허』 동인(同人)으로 활약하며 문단에 데뷔하였다. 1922년 이후 『개벽』지를 통해 해학이 넘치는 수필을 발표하였으며, 발자크의 작품 등 해외 문학을 국내에 번역·소개하였다. 1924년 일제 식민지 지배하의 민족적 울분을 노래한 시집 『조선의 마음』을 출간하였고, 1927년에는 백두산을 여행한 후 「두만강 상류를 끼고 가며」, 「정계비」, 「천지(天池) 가에 누워」 등 10여 편의 시를 발표하였다. 1931년 미국으로 건너가 캘리포니아 산호세대학에서 수학하였다. 1933년 동아일보사에 입사하여 『신가정』 주간으로 재직하였다. 그러나 『신가정』 표지에 손기정 선수의 다리만을 게재하고 ‘조선의 건각’이라는 제목을 붙이는 등 일본 총독부의 비위를 건드려, 결국 일본 총독부의 압력으로 동아일보사를 떠나야만 했다. 광복 후인 1946년 성균관대학교 영문과 교수로 부임하였다. 이후 서울신문사 이사, 대한공론사 이사장,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초대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1961년 3월 14일 인후암으로 별세하였다. 변영로는 친일 문학 연구가 임종국에 의해 “일제강점기의 지식인 중 지조를 지킨 몇 안 되는 문인”이라는 평가를 받았을 정도로 일제의 탄압에도 굽히지 않고 민족의 저항 정신을 노래한 시와 수필을 발표하였다. 1922년 발표한 「논개」는 변영로의 대표적인 시로, 진주성 촉석루에서 왜장 게야무라 로구스케[毛谷村六助]를 껴안고 남강으로 떨어져 죽은 논개(論介)의 애국충절을 노래함으로써 일제에 대한 저항 의식을 잘 드러내고 있다.
산루리 출신 독립운동가 안내판
박선태(1901~1938)는 경기 수원 사람이다. 그는 휘문학교에 재학 중이던 1919년 9월 독립운동을 위해 중국 상해로 가려다가 삼일학교 교사 이종상(李鍾祥)을 만나 국내에서 항일투쟁을 펴기로 계획을 변경하였다. 그리하여 이들은 1920년 7월까지 수원 일대에서 ≪애국창가집≫과 〈대한민보〉 수십매를 배포하며 독립사상을 고취하였다. 이들은 이후 보다 조직적인 활동을 펴기 위해 1920년 6월 20일 임순남(林順男)·최문순(崔文順)·이선경(李善卿) 등의 여학생을 규합하여 비밀결사 구국민단을 조직하였는데 그는 단장에 선임되어 동단의 활동을 주도하였다. 동단은 독립국가를 실현할 것과 독립지사들의 가족을 후원할 것을 활동목표로 삼고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는 한편 임시정부의 문서를 국내에 배포하는 등 임시정부 지원활동도 폈다. 특히 동단의 여학생들은 임시정부 적십자회에 참가하여 미·일전쟁이 일어나면 간호부로서 참전할 것을 계획하였다. 동단은 이후 혈복으로 명칭을 바꾸고 매주 금요일 삼일학교에서 회합하여 독립운동 방침을 협의하였으며 김석호(金錫浩)·김노적(金露積)·김귀섭(金龜燮)·김병갑(金秉甲)·이희경(李熙景)·신용준(愼用俊) 등을 동지로 포섭하기 위해 활동하던 중 일경에 붙잡혔다. 그는 1921년 4월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68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이선경(1902~1921)은 1920년 6월 경기도 수원군에서 구국민단을 결성하여 구제 부장에 선임되어 회원을 모집하였고, 대한민보 등의 배포에 관해 수차례 협의하였으며, 동년 8월 상해로 망명을 시도하다 체포되어 순국하 였다. 1919년 3월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종로경찰서에 15일간 구류를 당하였다. 1920년 6월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3학년 재학 중 경기도 수원 서호 부근에서, 수원 삼일여학교 교사 차인재의 소 개로 임순남(林順男,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2년생)·최문순(崔文順, 이화여자고등 보통학교 2년생) 등과 함께, "제1. 일한합병에 반대하여 조선을 일본제국 통치 하에 서 이탈케 하여 독립국가를 조직할 것, 제2. 독립운동을 하다가 입감되어 있는 사람 의 유족을 구조할 것"의 2대 목표를 표방하는 비밀결사 구국민단의 결성에 참여하였다. 이후 동년 7월경까지 수원 읍내 삼일학교에서 구국민단 부단장 이득수(李得壽) 등과 수차례 회합하여 <대한민보>·<독립신문> 등의 반포를 담당하기로 서약하고, 또 기회를 보아 상해로 가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간 호부가 됨으로써 독립운동을 도울 것을 맹서하였다. 상해 임시정부와 연락하기 위하여 동년 8월 9일 수원을 출발하여 상해로 향하다가 경성에서 체포되었다. 1921년 4월 12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1919년 제령 제7호 위반으로 징역 1년 집행유예 3년을 받고 순국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2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감고당 터(민창식 집)
감고당은 조선 숙종 계비 인현왕후 민씨가 살던 친정집이다. 인현왕후는 14살에 왕비로 간택되었다가 장희빈의 모함으로 폐서인되어 6년간 감고당에 갇혀 살다가 환궁하였다. 이후 이 자리는 일제강점기 애국지사 민창식 선생이 6.10 만세운동에 사용할 격문 외 4종의 격문 5만장을 인쇄한 장소이자 선생의 생가 자리로 쓰이게 된다. 현재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정문 앞에 이 자리를 기념하는 표지석이 설치되어 있다. 민창식은 중동학교(中東學校)에서 수학한 후 대동인쇄사와 경성일보·매일신보 등의 신문사 인쇄직공으로 일했다. 1920년대 들어 연우사(鉛友社) 동인, 신흥청년동맹(新興靑年同盟) 회원, 혁청당(革靑黨) 당원으로 활동하며 화요회 회원이 되었다. 1925년 서울에서 경성인쇄직공조합(京城印刷職工組合)을 결성한 민창식은 상무집행위원으로 활동하며 인쇄직공 등의 노동자 권익 확보를 위해 힘쓰며 대동인쇄주식회사(大東印刷株式會社)·창신인쇄주식회사(倉新印刷株式會社) 파업 등에 참여했다. 당시 대동인쇄주식회사의 직공 파업은 인쇄소 직공들의 불합리한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일어난 것으로, 회사 측은 직공 측의 요구를 들어주기로 해놓고는 오히려 주모자 등을 해고하였다. 이에 다시 들고 일어난 인쇄소 직공들의 투쟁은 직공들의 승리로 끝난 바 있었다. 이러한 때에 그는 직공들과 함께 동맹 휴업을 벌이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리고 같은 해 12월 부산직공파업 때에도 이를 원조코자 ‘착취계급과 피착취계급’을 강연하기도 했다. 같은 해 고려공산청년회(高麗共産靑年會)에 가입한 민창식은 활동범위를 넓혀 청년운동 및 사회주의 활동을 벌여 나갔다. 1926년 3월 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에 입당하여 경성부 위원으로 인쇄직공조합이 설치된 경성부 제2구 제1야체이카의 책임자가 되었다. 1926년 6·10만세운동 당시 격문의 인쇄와 배포를 담당한 민창식은 만세운동의 전국확대를 위해 원산과 평양 등지에서 선전문을 배포하던 중 일경에 붙잡혔다. 1928년 2월 경성지방법원에 징역 3년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7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조천비석거리(함덕리)
김재동(1910~1932)은 1931년 1월 고향인 북제주군 신좌면 함덕리에서 일본 동경에 유학 중 사망하여 유해가 운구되어 온 향리 출신 독립운동가 한영섭(韓永燮)의 장례를 김두성(金斗性) 등과 함께 동지장으로 치르면서, 「그대는 죽었지만 그대의 주의 정신은 동지인 우리들에게 계승되어 분투할 것이니 고이고이 진좌하라」라고 쓴 조기 40여 개를 만들어 사용하고 혁명가를 고창하였다. 이와 아울러 추모비를 만들어 동리 공동 샘터 부근에 세웠는데, 그 앞면에는 「동지적광(同志赤光) 한영섭」, 뒷면에는 「차디찬 백색 밑에 눌리인 무리들아 고함쳐 싸우다 피뿌린 동지였다」라는 문구를 새겼다. 이에 일경이 비석의 문구가 불온하여 안녕질서를 방해하였다는 이유로 비석을 뽑아 내어 압류하고 그와 5명의 동지는 붙잡혔다. 그 후 1931년 8월 5일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을 받고 공소하여 대구형무소에서 재판 대기 중 옥사(獄死) 순국하였다. 대구복심법원의 이른바 공소기각 결정문은 그의 사망일자를 1932년 3월 14일로 기록하였으나, 다른 동지 5명에 대한 항소심 판결은 이미 1931년 12월 8일에 있었고 그 판결문에는 그의 이름도 관련사실도 적기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보면, 그의 실제 사망 일자는 1931년 8월 5일 이후 12월 8일 이전의 어느 날인데 일제 법원이 그의 옥중 사망 사실을 은폐하려다 뒤늦게야 공표한 것으로 추측된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3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부생종(1909~1936)은 1931년 1월 제주도에서 김일준(金日準)과 함께 죽은 애국자를 애도하는 기념비를 건립하려다가 비문에 독립사상이 있다하여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어 고초를 겪었다. 1933년 2월에 김일준과 함께 항일 독립운동을 목적으로 하는 향동회(鄕同會)와 민풍진흥회(民風振興會)를 조직하여 입회하고 농민조합(農民組合)을 조직하여 애국동지 포섭에 활동하였다. 1934년 3월에 김원근(金元根)의 집에서 독서회(讀書會)를 조직하여 국문과 민족역사를 가르치며 구국운동을 전개하다가 1934년 8월에 일제 경찰에 붙잡혀 잔혹한 고문을 받고 1936년 6월 29일 목포형무소에 옥사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8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김일준(1911~1960)은 일본 동경에 유학하여 동향인 한영섭(韓永燮)과 독립운동을 하다가 일제 경찰의 감시에 쫓겨 귀국한 다음 청소년과 문맹자를 모아 교육하고 독립사상을 고취하였다. 동경에서 함께 독립운동을 하던 한영섭의 병사(病死)를 추모하고 그의 애국혼을 기리기 위하여 향리에 추모비를 세워 그 비문에 「차디찬 흰빛 밑에 눌리인 무리들아 고함쳐 싸우라고 피뿌린 동지였다」라고 썼다가 독립사상을 가졌다고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1931년 12월 8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5년을 받았다. 출옥 후에 향리에서 다시 사학(私學)을 열어 주민들을 교육하고 독립사상을 고취했으며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유사시에 봉기하기 위한 준비를 하다가 일제 경찰에 발각되어 함경북도 나진(羅津)으로 피신했으나 그곳에서 붙잡혀 압송된 후 1937년 4월 12일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다시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인정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애국지사 구국충정 숭모비
고성군 토성면 운봉리 출신의 독립운동가들인 이근옥(애국장, 1991년), 김연수(애족장, 1990년), 문명섭(애족장, 1990년)등은 3·1운동 당시 토성면 운봉리에서 만세시위를 주도하고, 임시정부의 선전 활동과 재정자금의 조달 등 상해임시정부의 국내 조직 활동을 주로 수행한 철원애국단(鐵原愛國團)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을 펼쳤다. 고성군 운봉리 애국지사 구국충정 숭모비 건립위원회에서 이들의 숭고한 애국정신과 넋을 기리기 위해 지역주민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자체 성금 모금을 통해 2007년 6월 30일 건립했다.
정석대 추모비
정석대(1908 - 1945)는 삼척보통학교(12회)를 졸업하고 서울 배재고보를 거쳐 삼척 대평리 보통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였고, 1933년 노동공작위원회를 결성해 집회를 갖고 일제의 근덕면 도로공사 부역에 항거하기 위해 비밀결사대(일명 K회 결사대)를 조직하였다. 이를 통해 근덕면사무소를 습격하고자 1,000여 명의 면민을 동원시켜 거사하고, 1934년 음력 4월 집회를 마치고 나오다가 삼척경찰서에 검거되었다. 1934년 11월 강릉검사국 지청에 송치되어 1935년 1월 함흥형무소로 이감, 징역 2년 집행유예 4년을 언도받고 1935년 11월 출옥하였으며, 일경의 심한 고문 후유증으로 인하여 1944년 5월 20일 36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애국지사 정석대공 추모비」는 삼척보통학교 4·15만세운동기념사업회가 2004년 3월 1일 삼일절에 건립하였다.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이기소 묘
이기소(1905 - 1970)는 삼척청년동맹(三陟靑年同盟)의 맹원으로 청년운동을 통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으며, 1931년 5월 삼척청년동맹 해체 후 삼척지역의 혁명적 농조·노조운동을 준비, 지도하는 전위조직의 성격을 띈 비밀결사대(일명 K회 결사대)를 조직하였다. 강원도 삼척군 근덕면에서 강제 부역과 공사비를 강제로 징수하자, 1931년 11월 30일 장날을 기해 동지들과 함께 도로공사 반대를 위한 면민대회 개최 및 반대투쟁과 함께 면사무소를 점거, 일경과 대치하여 격렬하게 투쟁을 전개하였으며, 이 일로 그는 일경에 붙잡혀 1932년 7월 2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을 받아 옥고를 치렀다. 1995년에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김동호 묘
김동호(미상 - 미상)는 강원 삼척(三陟) 사람이다. 그는 1910년대 국내의 대표적 혁명단체였던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 회원으로 활약했다. 풍기광복단(豊基光復團)과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恢復團)이 통합하여 1915년에 7월 대구(大邱)에서 결성된 대한광복회는 비밀·폭동·암살·명령을 행동강령으로 삼고 군자금을 조달하여 국내의 혁명기지를 확보하는 한편 만주의 독립군 기지에서 혁명군을 양성함으로써 적시에 폭동으로 독립을 쟁취할 계획을 갖고 있었다. 그리하여 전국의 부호들을 대상으로 군자금 모집에 관한 포고문을 발송했는데, 이때 그는 강원도 지역의 자산가들을 조사하여 포고문을 발송하는 등 강원도지역의 활동을 주관했다. 1918년 대한광복회가 발각될 때 붙잡힌 그는 고초를 치르다가 1919년 2월 28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형을 선고받고 출옥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김동호 사당
김동호(미상 - 미상)는 강원 삼척(三陟) 사람이다. 그는 1910년대 국내의 대표적 혁명단체였던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 회원으로 활약했다. 풍기광복단(豊基光復團)과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恢復團)이 통합하여 1915년에 7월 대구(大邱)에서 결성된 대한광복회는 비밀·폭동·암살·명령을 행동강령으로 삼고 군자금을 조달하여 국내의 혁명기지를 확보하는 한편 만주의 독립군 기지에서 혁명군을 양성함으로써 적시에 폭동으로 독립을 쟁취할 계획을 갖고 있었다. 그리하여 전국의 부호들을 대상으로 군자금 모집에 관한 포고문을 발송했는데, 이때 그는 강원도 지역의 자산가들을 조사하여 포고문을 발송하는 등 강원도지역의 활동을 주관했다. 1918년 대한광복회가 발각될 때 붙잡힌 그는 고초를 치르다가 1919년 2월 28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형을 선고받고 출옥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김동호 집
김동호(미상 - 미상)는 강원 삼척(三陟) 사람이다. 그는 1910년대 국내의 대표적 혁명단체였던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 회원으로 활약했다. 풍기광복단(豊基光復團)과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恢復團)이 통합하여 1915년에 7월 대구(大邱)에서 결성된 대한광복회는 비밀·폭동·암살·명령을 행동강령으로 삼고 군자금을 조달하여 국내의 혁명기지를 확보하는 한편 만주의 독립군 기지에서 혁명군을 양성함으로써 적시에 폭동으로 독립을 쟁취할 계획을 갖고 있었다. 그리하여 전국의 부호들을 대상으로 군자금 모집에 관한 포고문을 발송했는데, 이때 그는 강원도 지역의 자산가들을 조사하여 포고문을 발송하는 등 강원도지역의 활동을 주관했다. 1918년 대한광복회가 발각될 때 붙잡힌 그는 고초를 치르다가 1919년 2월 28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형을 선고받고 출옥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동창률 묘
동창률(1868 - 1943)은 1910년 경술국치 이후 민족을 등졌던 과오를 반성하고 국권회복의 기회를 기다리던 중, 대동단(大同團)이 결성하자 가입 후 독립의식의 고취를 위한 선전활동에 힘을 기울였다. 기관지 〈대동신보(大同新報)〉의 배포 및 조직 확대에 힘을 쏟았다. 의친왕의 상해 망명을 추진했으나, 일경에 도중 탐지되어 11월 11일 만주 안동역(安東驛)까지 갔던 의친왕 일행이 모두 붙잡히며, 거사에 가담한 조직원들과 함께 일본 경찰에 붙잡혔다. 1920년 12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3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