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항일운동
사건설명
국내항일운동
사건설명
TOTAL. 729 건
조재만 추모비
조재만(1906 - 1990)은 경북 영천(永川) 사람으로, 이명은 조충환(曺忠煥) 또는 조용찬(曺瑢燦)이다. 1925년 9월 대구에서 조직된 비밀결사 암살단(暗殺團) 단원으로 활동하였다. 암살단은 1925년 9월 경, 장진홍(張鎭弘)·이원록(李源祿)·이원기(李源祺)·이원유(李源裕) 등에 의해 조직되었으며, 일제의 주요시설 파괴를 목적으로 하였다. 조재만은 암살단에 가입하여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동하는 한편, 1927년 10월 경 장진홍과 함께 경북도청(慶北道廳)·경북경찰부(慶北警察部)·조선은행 대구지점(朝鮮銀行大邱支店)·식산은행 대구지점(殖産銀行大邱支店) 등지를 폭파시키고자 계획하였다. 1927년 10월 18일 오전 9시 경, 장진홍은 미리 준비한 폭탄 4개를 목표 지점에 1개씩 배달시켰으며, 이날 오전 11시 50분 경 폭탄이 폭발하여 은행원과 일경 등 5명이 중경상을 입는가 하면 유리창 70여 매가 완전히 부숴졌다. 일경은 이 사건에 대한 신문게재를 금지시키는 한편 비밀리에 조사를 진행시켰는데, 이때 조재만은 폭탄을 투척한 것과 연루되어 붙잡혔다. 그는 이 일로 소위 폭발물 취체규칙 및 치안유지법으로 2년 여의 옥고를 치렀다. 그 후 1931년에는 이원록과 함께 독립운동을 위해 중국 북경(北京)으로 망명할 계획을 세우기도 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7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조재만 묘
조재만(1906 - 1990)은 경북 영천(永川) 사람으로, 이명은 조충환(曺忠煥) 또는 조용찬(曺瑢燦)이다. 1925년 9월 대구에서 조직된 비밀결사 암살단(暗殺團) 단원으로 활동하였다. 암살단은 1925년 9월 경, 장진홍(張鎭弘)·이원록(李源祿)·이원기(李源祺)·이원유(李源裕) 등에 의해 조직되었으며, 일제의 주요시설 파괴를 목적으로 하였다. 조재만은 암살단에 가입하여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동하는 한편, 1927년 10월 경 장진홍과 함께 경북도청(慶北道廳)·경북경찰부(慶北警察部)·조선은행 대구지점(朝鮮銀行大邱支店)·식산은행 대구지점(殖産銀行大邱支店) 등지를 폭파시키고자 계획하였다. 1927년 10월 18일 오전 9시 경, 장진홍은 미리 준비한 폭탄 4개를 목표 지점에 1개씩 배달시켰으며, 이날 오전 11시 50분 경 폭탄이 폭발하여 은행원과 일경 등 5명이 중경상을 입는가 하면 유리창 70여 매가 완전히 부숴졌다. 일경은 이 사건에 대한 신문게재를 금지시키는 한편 비밀리에 조사를 진행시켰는데, 이때 조재만은 폭탄을 투척한 것과 연루되어 붙잡혔다. 그는 이 일로 소위 폭발물 취체규칙 및 치안유지법으로 2년 여의 옥고를 치렀다. 그 후 1931년에는 이원록과 함께 독립운동을 위해 중국 북경(北京)으로 망명할 계획을 세우기도 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7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장진우 기념비
장진우(1866 - 1945)는 경북 예천(醴泉) 사람이다. 이강년(李康秊) 의진의 좌종사(坐從事)로 경북 예천·문경 일대에서 활약하였으며, 경술국치 이후에도 「격문(格文)」과 「효유문(曉諭文)」을 작성하여 항일의식을 고취시켰다. 일제의 강요와 위협 아래 1905년 11월 「을사륵약(乙巳勒約)」이 체결되어 우리의 자주적 외교권이 침탈되더니, 이듬해 통감부(統監府)가 설치되어 통치권을 장악함에 따라 우리 나라는 식민지나 다름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에 안재극은 이 시기가 우리 민족에게 국망의 위기임을 절감하고 국권회복운동의 기회를 엿보고 있었으나 여의치 않았다. 그러던 중 1907년 7월 광무황제의 강제퇴위와 「정미7조약(丁未7條約)」에 따른 군대해산으로 해산군인들이 대거 의병대열에 참여함으로써 전국적인 국민전쟁으로 발전되고 있을 무렵 그는 이강년 의진에 참여하여 좌종사로 활동하였다. 이강년 의병장은 을미의병을 전개하였다가 1907년 7월 「정미7조약」에 격분하여 다시 봉기하여 항일 무장투쟁을 벌이고 있었다. 그리하여 이강년 의병부대는 주로 태백산맥을 동서남북으로 오르내리고 넘나들며 정미의병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상을 보였다. 특히 이강년 의병장은 대담한 유도작전으로 적에게 결정적 타격을 주는 전과를 올렸던 것으로 유명하다. 그 후 1908년 6월 청풍 까치재에서 이강년 의병장이 적들에게 붙잡혔어도, 그의 부장들은 의병활동을 지속하였다. 안재극도 일제의 무자비한 탄압에 맞서 의병투쟁을 전개하였으나, 결국 1910년 8월 주권이 완전히 상실되고 말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술국치(庚戌國恥) 이후 국권회복 의지에 불타는 그는 일제의 주권 강탈의 부당성을 성토하고, "8도의 동포에게 고하여 삼군(三軍)을 규합해 일제를 타도하자"는 「격문」과 「효유문」을 작성하였다. 또한 그는 의병을 재규합하여 항전하려는 의도에서, 동지인 이지원(李芝元 ; 李芝璇), 이승재(李承宰), 한양이(韓良履), 윤태휴(尹泰休) 등과 지속적으로 연락을 취하여 일제를 몰아내고 나라의 독립을 쟁취하자는 격문을 작성하여 항일의식을 고취시켰다. 한편 그는 이강년 의병장이 일제에 의해 순국하자, 그의 장자 이승재가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동분서주하다가 병을 얻어 객지에서 사망한 소식을 듣고, 여러 동지들에게 알려 재물을 마련하여 고향으로 보내는 등 운동자의 가족을 돌보는 일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또한 이강년 의병장을 추모하여 1919년 『운강이공전(雲崗李公傳)』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예천 용궁 독립운동기념비
본 비는 일제강점기 일본 제국의 치하에서 조국 광복을 위해 몸바친 순국선열들의 뜻을 길이 전하고자 건립되었다. 장진우, 장진성, 김철상, 한양이, 이봉래의 항일독립투쟁과 정진완, 김칠종, 이구성의 3.1만세운동, 권혁무의 광복군 활동 사적에 대해서 기록이 되어있다.
윤우식 기적비
윤우식(1909 - 1934)은 1932년 6월경 경북 예천군(醴泉郡) 개포면(開浦面) 금동(琴洞)에서 ML당사건으로 복역하다가 1931년경 출옥한 한일청(韓一淸) 등과 함께 예천적색농민조합(醴泉赤色農民組合)을 조직하였다. 그 뒤 영주(榮州)·봉화(奉化) 등지에서 결사사건이 발각되자, 예천농민조합을 해산하고 동년 11월에 예천무명당(醴泉無名黨)을 결성하였다. 즉 한일청·박철호(朴鎬哲)·김기석(金己石) 등과 함께 모여 한국의 독립과 사회주의 실현을 목적으로 비밀결사를 조직하였다. 이때부터 이들은 1933년 6월경까지 각지의 동지를 규합하고 농촌진흥조합의 적화(赤化)를 비롯하여 무명당 산하에 사방(砂防) 그룹, 역(驛) 그룹, 교원(敎員) 그룹, 봉급자 그룹 등의 결성을 추진하면서 결사의 확대 강화, 주의의 보급에 진력하였다. 무명당 결성 이후 조직부를 맡은 윤우식은 윤태혁(尹泰赫)·윤성복(尹成福) 등의 동지들을 포섭하고 야학회 및 소비조합 설치 등을 도모하는 한편, 지보면(知保面)의 농촌진흥회를 이용하여 이립금(利立金)을 만들어 활동자금으로 삼았다. 예천무명당 사건으로 1934년 초순 이래 350여 명이 체포되었고, 그 가운데 11명이 1935년 5월 공판에 회부되었다. 이때 체포되어 고문을 받은 그는 그 후유증으로 공판에 회부되기 전인 1934년 10월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4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윤우식 집
윤우식(1909 - 1934)은 1932년 6월경 경북 예천군(醴泉郡) 개포면(開浦面) 금동(琴洞)에서 ML당사건으로 복역하다가 1931년경 출옥한 한일청(韓一淸) 등과 함께 예천적색농민조합(醴泉赤色農民組合)을 조직하였다. 그 뒤 영주(榮州)·봉화(奉化) 등지에서 결사사건이 발각되자, 예천농민조합을 해산하고 동년 11월에 예천무명당(醴泉無名黨)을 결성하였다. 즉 한일청·박철호(朴鎬哲)·김기석(金己石) 등과 함께 모여 한국의 독립과 사회주의 실현을 목적으로 비밀결사를 조직하였다. 이때부터 이들은 1933년 6월경까지 각지의 동지를 규합하고 농촌진흥조합의 적화(赤化)를 비롯하여 무명당 산하에 사방(砂防) 그룹, 역(驛) 그룹, 교원(敎員) 그룹, 봉급자 그룹 등의 결성을 추진하면서 결사의 확대 강화, 주의의 보급에 진력하였다. 무명당 결성 이후 조직부를 맡은 윤우식은 윤태혁(尹泰赫)·윤성복(尹成福) 등의 동지들을 포섭하고 야학회 및 소비조합 설치 등을 도모하는 한편, 지보면(知保面)의 농촌진흥회를 이용하여 이립금(利立金)을 만들어 활동자금으로 삼았다. 예천무명당 사건으로 1934년 초순 이래 350여 명이 체포되었고, 그 가운데 11명이 1935년 5월 공판에 회부되었다. 이때 체포되어 고문을 받은 그는 그 후유증으로 공판에 회부되기 전인 1934년 10월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4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조용필 공적기념비
조용필(1867 - 1946)은 경북 예천(醴泉) 사람이다.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에 가입하여 항일활동을 폈다. 대한광복회는 1915년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恢復團)의 일부 인사들과 풍기광복단(豊基光復團)이 제휴하여 결성한 혁명단체였다. 동회는 국내에서 군자금을 조달하여 만주의 독립군기지에서 혁명군을 양성하고 국내에 확보한 혁명기지를 거점으로 적시에 봉기하여 독립을 쟁취할 것을 계획하였다. 행동지침은 비밀·폭동·암살·명령의 4대 강령이었고 각처에 곡물상을 설치하여 혁명기지로 삼는 한편 혁명계획은 군자금 조달·독립군 및 혁명군의 기지건설·의협투쟁으로서의 총독처단 계획과 친일부호 처단 등으로 추진되었다. 그리하여 우선 군자금 모집활동을 전개했는데, 이때 그는 자신의 집을 모의장소로 제공하며 채기중(蔡基中)·정세여(鄭世汝)·윤창하(尹昌夏) 등과 함께 친일부호에게 보낼 군자금 모집의 경고문을 작성한 후 수십통을 인쇄하여 발송하였다. 그러던 중 1918년초 대한광복회의 조직이 발각됨으로써 일경에 붙잡혀 7개월간의 옥고를 치렀다. 그후 1920년 미국의원단의 내한을 계기로 한국민의 독립의지를 전세계에 알리기 위해 상경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고 1925년 5월 정진회(鄭鎭華)·정운홍(鄭雲洪)과 함께 매국적 이완용(李完用)을 처단코자 하였으나 실패하였다고 한다.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조용필 묘
조용필(1867 - 1946)은 경북 예천(醴泉) 사람이다.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에 가입하여 항일활동을 폈다. 대한광복회는 1915년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恢復團)의 일부 인사들과 풍기광복단(豊基光復團)이 제휴하여 결성한 혁명단체였다. 동회는 국내에서 군자금을 조달하여 만주의 독립군기지에서 혁명군을 양성하고 국내에 확보한 혁명기지를 거점으로 적시에 봉기하여 독립을 쟁취할 것을 계획하였다. 행동지침은 비밀·폭동·암살·명령의 4대 강령이었고 각처에 곡물상을 설치하여 혁명기지로 삼는 한편 혁명계획은 군자금 조달·독립군 및 혁명군의 기지건설·의협투쟁으로서의 총독처단 계획과 친일부호 처단 등으로 추진되었다. 그리하여 우선 군자금 모집활동을 전개했는데, 이때 그는 자신의 집을 모의장소로 제공하며 채기중(蔡基中)·정세여(鄭世汝)·윤창하(尹昌夏) 등과 함께 친일부호에게 보낼 군자금 모집의 경고문을 작성한 후 수십통을 인쇄하여 발송하였다. 그러던 중 1918년초 대한광복회의 조직이 발각됨으로써 일경에 붙잡혀 7개월간의 옥고를 치렀다. 그후 1920년 미국의원단의 내한을 계기로 한국민의 독립의지를 전세계에 알리기 위해 상경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고 1925년 5월 정진회(鄭鎭華)·정운홍(鄭雲洪)과 함께 매국적 이완용(李完用)을 처단코자 하였으나 실패하였다고 한다.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정진화 비
정진화(1873 - 1945)는 경북 예천(醴泉) 사람이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국권회복을 도모하던 중 1913년에 채기중(蔡基中)·유창순(庾昌淳)·유장렬(柳璋烈)·한 훈(韓焄)·강순필(姜順必) 등과 함께 풍기에서 풍기광복단(豊基光復團)을 결성하였다. 주로 의병적(義兵的) 성향의 인물이 참여했던 동단은 독립군 양성을 위한 무기구입과 군자금 모집에 실천방략을 두고 독립운동을 폈다. 그후 풍기광복단이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恢復團)과 통합하여 1915년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를 결성할 때, 이에 참여·활동했다. 이를 위해 비밀·폭동·암살·명령의 4대 행동지침을 정하고, 각처에 곡물상을 설립하여 혁명기지로 삼는 한편, 혁명계획은 군자금 조달, 독립군 및 혁명군의 기지건설, 의협 투쟁으로서의 총독처단 계획과 친일부호 처단 등으로 추진되었다 그리하여 우선 군자금 모집활동을 전개했는데, 그는 자신의 집에서 채기중(蔡基中)·정세여(鄭世汝)·윤창하(尹昌夏) 등과 함께 친일부호에게 보낼 군자금 모집의 〈경고문〉을 초안·작성한 후 수십통을 인쇄하여 발송하였다. 그러던 중 1918년초 동회의 조직이 발각됨으로써 일경에 붙잡혀 1년여의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김창희 묘
김창희(1906 - 1946)는 1927년 3월 대성학원(大成學院) 제3학년을 수학하고, 농업에 종사하면서 신사상을 받아들이고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28년 3월 10일, 경북 봉화청년동맹(奉化靑年同盟) 제1회 정기대회에서 문화교양부장을 맡았으며 5월 10일 봉화청년동맹 제1회 확대집행위원회에서 사임 위원에 대한 보선에서 조직연락부장을 맡게 되었다. 1929년 2월 18일 제1회 정기대회에서 위원에 선임되었다. 1928년 12월 29일 신간회(新幹會) 봉화지회 제3회 정기대회에서 상무간사(常務幹事)에 선임되었고 1930년 9월경 신간회 봉화지회의 대표회원으로 활동하였다. 1932년 2월경 황윤경(黃潤慶)·김차을(金次乙) 등과 함께 비밀결사를 조직할 것을 협의하고, 3월에 황윤경의 제안으로 비밀결사로 적색농민조합(赤色農民組合)을 조직하여, 황윤경·김차을과 함께 집행위원이 되고, 황윤경을 책임자로 선출했다. 이후 그의 집에서 여러 차례 모임을 갖고, 황윤경이 작성한 ‘뉴스’를 배포 토의하고, 농민의 의식 함양을 위해 노력하였다. 5월 하순, 황윤경·권우섭(權宇燮)·권차응(權次應) 등과 함께 유곡리(酉谷里) 제궁곡(濟宮谷)에 모여 황윤경의 제의로 일본제국주의를 타파하고 신사회의 실현을 목적으로 봉화군 내에 운동의 지도기관인 비밀결사를 조직하였다. 농민부·반제부·청년부·연락부 등의 4개 부서를 두고, 권우섭을 책임비서로 하는 한편, 김창희는 농민부 책임자로서 농민조합의 지도, 권우섭을 반제부 책임자로서 반제동맹의 조직 및 지도, 권차응을 청년부 책임자로서 공산청년회 조직 및 지도, 황윤경을 연락부 책임자로서 인근 영주의 좌익단체와의 연락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청년부에는 별도의 반제동맹을 조직하기로 결정하였다. 7월 19일, ‘영주봉화공산협의회 사건’으로 불리는 영주·봉화 적색농민조합(赤色農民組合)이 드러나면서 관련 인사 약 80여 명이 일경에 체포되었고, 김창희를 비롯하여 황윤경·김동필·권차응(권상창)·권우섭 등 12명이 10개월 동안 예심 판사의 취조를 받았다. 1933년 4월 1일에 예심이 종결되어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대구지방법원 공판에 회부되었다. 1933년 12월 22일 징역 2년 6월을 받아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고 1935년 3월 26일 출감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8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김재봉 묘
김재봉(1891 - 1944)은 경북 안동의 유생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 한학을 수학한 그는 1908년 대구 계성학교(啓聖學敎)를 졸업하고 1913년에는 경성공업전습소 염직과를 다녔다. 1919년 3·1운동에 참가하였으며, 1919∼1920년 무렵 비밀공산주의 단체에 가입하였다. 이 무렵 그는 안상길(安相吉) 등과 함께 임시정부 자금모집에도 힘을 기울였다. 그러던 중 1921년 1월 조선독립단(朝鮮獨立團)의 문서를 전달하다가 체포되어 6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그는 1922년 1월 모스크바에서 열린 극동인민대표대회에 여운형(呂運亨)·김규식(金奎植) 등과 함께 조선노동대회 대표자 자격으로 참가하였다. 이후 1923년 5월 꼬르뷰로(高麗局:조선공산당 중앙총국) 국내 파견원으로 선임되어 입국한 그는 신철(辛鐵)과 상해파(上海派)의 이봉수(李鳳洙), 조선노동연맹회(朝鮮勞動聯盟會)의 윤덕병(尹德炳)·신백우(申伯雨), 북성회(北星會)의 김약수(金若水), 무산자동맹회(無産者同盟會)의 원우관(元友觀) 등과 함께 꼬르뷰로 국내부를 조직하고 책임비서가 되었다. 그리고 1923년 7월에는 사회주의 사상단체인 신사상연구회(新思想硏究會)를 조직하여 각 지방을 돌며 사회주의 사상에 대한 강연을 통해 일반 대중에게 계급의식과 항일의식을 고취하는 한편, 조직확대를 위해 각 지역의 기존 단체들과의 연대를 모색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1924년 4월 조선노농총동맹(朝鮮勞農總同盟)의 결성을 주도하였다. 1925년 4월에는 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을 창당하고 책임비서가 되었다. 그가 지도하던 ‘제1차 조선공산당’은 조동호(趙東祜)와 조봉암(曺奉岩)을 코민테른에 파견하고, 조선노동총동맹을 분리시키는 등의 대내외적인 활동을 하다가 동년 11월 ‘신의주사건’으로 그 조직이 일경에 발각되고 말았다. 김재봉은 12월에 검거되어 1928년 2월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6년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5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황만영 집
황만영(1875 - 1939)은 경북 울진(蔚珍) 사람이다. 1905년 을사조약의 강제 늑결 후 각처에서 의병이 봉기할 때, 향리에 주둔하고 있던 성익현(成益鉉) 의진(義陣)에 군자금 8백 냥을 지원하면서 의병활동을 격려하였다. 그 후 1907년 신민회(新民會)가 창건되자 회원으로 가입하여 향리인 사동(沙銅)에 대흥학교(大興學校)를 설립하고 인재 양성에 힘을 쏟았다. 1912년 만주로 망명한 그는 이시영(李始榮) 등과 함께 유하현(柳河縣) 삼원보(三源堡)에 설립된 신흥학교(新興學校)의 재정을 담당하였으며, 1913년에는 노령(露領) 지역으로 건너가 그곳의 독립운동자들과 교류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그 후 3·1운동이 일어나자 연해주 대한국민의회(大韓國民議會)에 참가하였던 그는 1919년 9월 주진수(朱鎭洙) 등과 함께 만주로 파견되어 순회 강연을 개최하면서 항일의식을 고취하였다. 한편 그는 1925년 정의부(正義府) 독판(督辦) 이상룡(李相龍)이 상해(上海) 임시정부의 국무령에 취임하기 위해 길림(吉林)에서 상해로 갈 때, 동행하여 임시정부에 참가하기도 했다. 1925년 8월에는 군자금 모집을 위해 국내에 들어와 1927년 신간회(新幹會)가 성립되자 신간회 울산지회(蔚山支會) 회장에 선임되어 민족협동전선운동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