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검색
TOTAL. 4004건
-
머내만세운동 발상지 표지석
고기초등학교 운동장 및 정문 앞은 1919년 3월 29일 오전 9시경 고기리 주민 100여 명이 머내만세운동이 시작된 역사적인 장소로, 당시는 고기리 마을 입구의 공터였다. 수지면 고기리 이장이었던 이덕균은 1919년 3월 28일 안종각과 함께 만세시위를 계획하였다. 그들은 다음날인 3월 29일 100여명의 주민들을 선도하여 만세시위를 벌이기 시작하였다. 시위대는 동천리를 지나면서 300명의 규모로 커져갔고, 풍덕천 수지면사무소에 다다르자 주변지역 주민들까지 운집하였다. 안종각이 수지면사무소에서 독립선언문을 낭독한 후, 시위대는 기세를 더욱 떨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최우돌이 보정리에서 시위대를 이끌고 와서 합류하였고, 마북리(삼거리) 방면으로 진출하고자 했다. 그러나 경계를 치고 있던 일본군이 시위대를 향해 총격을 가하기 시작했고, 시위대를 주도했던 안종각과 최우돌은 일본군의 총격을 받고 그 자리에서 쓰러져 순국하였다. 시위대는 결국 해산하고 말았으며, 이 과정에서 이덕균 역시 체포되었다. 머내만세운동을 주도했던 안종각에게 애국장(1991년), 이덕균에게 애족장(1990년), 이도해, 홍재택, 강춘석, 권병선, 김영석, 김원배, 김현주, 남정찬, 윤만쇠, 이달순, 이희대, 정원규, 진암회, 천산옥, 최충신에게는 대통령표창(2019년)을 각각 수여했다. 용인시와 고기동·동천동 주민들이 만세운동 100주년을 기념하여 2019년 3월 29일에 『머내만세운동 발상지』 표지석을 세웠다.
-
이덕균 공적비
이덕균(1879 - 1955)은 1919년 3월 28일 용인군 수지면 고기리 이장으로서 동지 안종각과 독립만세시위를 계획하고 이튿날인 3월 29일 8시경에 동민 100명을 규합하여 독립만세를 소리높여 부르며 시위행진 중 동천리에서 주민 100여명과 합류하여 동일 오후 2시경까지 수지면 일대를 돌며 시위를 주도하다가 붙잡혔다. 동년 4월 29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위반으로 징역 1년 6월형을 받고 동년 5월 23일 경성복심법원에 공소하였으나 기각되어 옥고를 치렀다.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6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
용인독립운동유적(이덕균 묘)
용인 독립만세운동시위를 주도했던 이덕균(1879 - 1955)이 안장된 묘역이다. 용인 독립만세시위는 1919년 3월 21일 원삼면 좌전고개에서 시작하여 용인군 전역으로 확대된 운동이다. 용인의 독립만세운동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초기에는 평화적인 시위가 전개되다가 일제의 무자비한 탄압과 발포로 점차 과격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는 당시 용인군 수지면 고기리 이장으로서 동지 안종각(安鍾珏)과 독립만세시위를 계획하고, 이튿날인 3월 29일 8시경에 동민 100명을 규합하여 만세운동시위를 시작했다. 독립만세를 부르며 시위행진 중 동천리에서 주민 300여 명과 합류하여 수지면 일대를 돌며 시위를 주도하다가 체포되었다. 같은 해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 6월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머내만세운동 표지석(권병선, 남정찬, 이희대)
이곳 동막골 주민들은 1919년 3월 29일 오전 권병선, 남정찬, 이희대, 진암회 등의 주도 아래 고기동의 만세 행렬과 합세해 용인 중심지를 향해 행진하는 등 나라의 독립을 위해 만세운동을 벌였다. 주도했던 이들은 보안법(保安法) 위반으로 4월 28일 용인헌병분대에서 태(笞) 90도(度)를 받았다. 2019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
머내만세운동 표지석(김현주)
김현주(1892 - 1956)는 1919년 3월 30일 아침 마을 사람들 100여 명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조선독립만세”를 외치며 동천리(東川里)로 행진하였으며, 동천리 주민과 합세해 그 규모는 300여 명에 달했다. 시위행렬은 오전 11시 30분 무렵 풍덕천리(豊德川里)를 거쳐 수지면사무소에 나아가 만세를 불렀으며, 시위 행렬이 읍산면(邑山面) 마북리(麻北里)로 가던 중 일본 헌병과 대치하였고, 헌병은 무력으로 시위대를 진압하며 2명이 사망하는 불상사가 일어났다. 이곳 하손곡 마을의 동천동 359번지에 살던 김현주는 보안법(保安法) 위반으로 체포되어 4월 28일 용인헌병분대에서 태(笞) 90도(度)를 받았다. 2019년에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
머내만세운동 표지석(강춘석, 김원배)
강춘석, 김원배 두 분은, 1919년 3월 30일 아침 마을 사람들 100여 명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조선독립만세”를 외치며 동천리(東川里)로 행진하였고, 동천리 주민과 합세해 그 규모는 300여 명에 달했다. 시위행렬은 오전 11시 30분 무렵 풍덕천리(豊德川里)를 거쳐 수지면사무소에 나아가 만세를 불렀으며, 시위 행렬이 읍산면(邑山面) 마북리(麻北里)로 가던 중 일본 헌병과 대치하였고, 헌병은 무력으로 시위대를 진압하며 2명이 사망하는 불상사가 일어났다. 이곳 하손곡 마을의 동천동 362번지에 살며 만세운동을 주도했던 두 분은 보안법(保安法) 위반으로 4월 28일 용인헌병분대에서 태(笞) 90도(度)를 받았다. 2019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
머내만세운동 표지석(김영석, 윤만쇠, 천산옥)
김영석, 윤만쇠, 천산옥 등 세 분은, 1919년 3월 30일 아침 마을 사람들 100여 명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조선독립만세”를 외치며 동천리(東川里)로 행진하였고, 동천리 주민과 합세해 그 규모는 300여 명에 달했다. 시위행렬은 오전 11시 30분 무렵 풍덕천리(豊德川里)를 거쳐 수지면사무소에 나아가 만세를 불렀으며, 시위 행렬이 읍산면(邑山面) 마북리(麻北里)로 가던 중 일본 헌병과 대치하였고, 헌병은 무력으로 시위대를 진압하며 2명이 사망하는 불상사가 일어났다. 이곳 하손곡 마을의 동천동 339번지에 살며 만세운동을 주도했던 세 분은 보안법(保安法) 위반으로 4월 28일 용인헌병분대에서 태(笞) 90도(度)를 받았다. 2019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
머내만세운동 표지석(김원배)
김원배(1889 - 미상)는 1919년 3월 30일 아침 마을 사람들 100여 명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조선독립만세”를 외치며 동천리(東川里)로 행진하였고, 동천리 주민과 합세해 그 규모는 300여 명에 달했다. 시위행렬은 오전 11시 30분 무렵 풍덕천리(豊德川里)를 거쳐 수지면사무소에 나아가 만세를 불렀으며, 시위 행렬이 읍산면(邑山面) 마북리(麻北里)로 가던 중 일본 헌병과 대치하였고, 헌병은 무력으로 시위대를 진압하며 2명이 사망하는 불상사가 일어났다. 이곳은 보안법(保安法) 위반으로 4월 28일 용인헌병분대에서 태(笞) 90도(度)를 받았다. 2019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
장형 묘
범정 장형(1889 - 1964)은 평북 용천 사람으로,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시기에 만주와 경성 등지에서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이다. 한일 강제 병합 이후 만주에서 군자금을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전달하였고, 치료소와 만선토지개간주식회사, 미곡상과 정미소 등을 운영하며 독립운동 자금을 임시정부에 조달하였으며, 광복 이후에는 단국대학교를 설립하여 이사장으로 취임하는 등 교육 활동에 전념하였다. 장형은 1964년 12월 30일에 서울 내수동 자택에서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단국대학교 한남동 서울캠퍼스 내에 매장되었다가 2007년 단국대학교 캠퍼스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으로 이전하면서 현재 위치인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내로 이장되었다.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수지3.1만세운동기념탑
수지 3.1만세운동 기념탑은 300여명의 수지 주민들이 고기리에서 동천리를 거쳐 풍덕천까지 독립만세를 외친 열사들의 수지 항일 독립운동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건립하였다. 기념탑 설계 공모를 통해 선정된 정기웅 작가의 『독립의 메아리는 주탑과 기단에 태극기 형상과 만세를 부르는 민중의 손들을 중첩시킨 단순한 조형미로 3.1저항정신을 명료하게 표현했으며, 용인항일독립운동기념사업회가 후손들과 뜻이 있는 사람들의 후원을 받아서 2009년 11월 27일에 세웠다. 수지구 풍덕천동에 소재한 새마을 공원 내에 자리하고 있다.
-
김량장공립보통학교 3.1운동 만세 시위지
김량장공립보통학교 3.1운동 만세 시위를 벌인 곳이다. 김량장공립보통학교는 1916년 개교한 학교로 1919년 3월 첫 졸업생을 배출했다. 바로 첫 졸업식이 치러진 1919년 3월 24일에 만세 시위가 일어난 것이다. 1회 졸업생들은 전국적으로 벌어진 3·1운동 소식을 듣고 졸업식이 치러진 1919년 3월 24일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학생들은 일본 천황에 대한 만세삼창 순서가 되자 우리말로 ‘일본 천황 망세(亡歲)’라고 하여 만세가 아닌 망세를 삼창하였다. 그리고 그 여세를 몰아 졸업식이 끝난 후에도 흩어지지 않고 두 패로 나누어 만세시위를 벌이며 김량장터로 행진하였다. 학생들이 행진하자 주변에 있던 주민들도 적극 호응하며 시위에 참가하였다. 일제는 기마병을 투입하여 시위를 저지하였고, 결국 시위대는 해산하게 된다. 이날 시위에 참가했던 학생 중 박용중·송요중·이영환·이원경·차거복·이태원 등은 현장에서 체포되어 졸업장을 빼앗기고 15일간 구류 처분을 받았다.
-
용인독립항쟁기념탑
3·1운동 당시 용인에서 1만 3,200여 명이 궐기하여 독립만세를 외치다가 일본 경찰과 헌병대의 폭압으로 사망 35명, 실종 139명, 상해 502명, 수형 65명 등 741의 희생자가 발생하였다. 그 밖에 1895년 명성황후 시해 사건과 1905년의 을사늑약을 전후하여 용인에서는 관내에서만 58회에 걸쳐 의병들의 항일투쟁이 있었다. 또한 국내외에서 독립운동에 일신을 던진 35명의 우국 독립지사들이 있었다. 그들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광복 50주년을 맞이하여 1995년 8월 15일에 용인군 독립항쟁기념탑을 건립하였다. 높이 15m이며 화강암으로 조성된 삼각의 받침대 위에 뾰족한 탑을 세웠으며 애국지사들을 표상한 6인의 청동입상이 배치되어 있다.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 326번지 통일공원 내에 자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