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소
-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2가 84
- 탐방로그
-
이상화의 고택은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 6-1(계산동2가 84번지)에 위치해있다.
이상화 생가와는 다른 곳이다. 이상화 생가는 대구 중구 서성로13길7-20에 위치해있다.(현재는 라일락뜨락1956이라는 카페로 운영)
+ 이상화의 고택은 이상화 시인이 1939년부터 1943년 작고하기 전까지 그의 말년을 보냈고, 그의 마지막 작품 '서러운 해조'를 쓴 장소로 대구 중구 근대골목에 위치하고 있다.
이상화 시인은 1922년 문예지 <백조(白潮)>의 동인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시와 소설, 평론을 발표하였다.
대표작품으로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가 있다.
본래 대구 도심개발로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었으나 1999년 대구고택보존시민운동으로 살아남았다.
2008년 8월 12일에 개방되어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으며 일자형의 한옥 목조주택 2동으로 되어있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고 관람료는 무료이다.
사적지 사진 상세설명
상화를 더 만날 수 있는 곳
1. 이상화 고택 2. 상화로 3. 상화 생가 4. 국채보상 상화어록비 5. 화원 상화기록묘역 6. 수성못 상화 시비 7. 대륜중고 교가비 8. 달성공원 상화 시비 9. 두류공원 상화 동상
1. 이상화 고택 2. 상화로 3. 상화 생가 4. 국채보상 상화어록비 5. 화원 상화기록묘역 6. 수성못 상화 시비 7. 대륜중고 교가비 8. 달성공원 상화 시비 9. 두류공원 상화 동상
이상화(李相和) Yi Sang-hwa 1901-1943
일제의 칼날에 맞선 저항시로
나라 잃은 민족의 해방을 부르짖은 독립투사로
학생들에게 민족을 깨우쳐주던 스승으로
짧은 생을 불태운 시인 이상화
봄이 오기를 목 놓아 노래했던 시인 이상화는
제국주의 지배의 모순을 드러내며 현실 사회의 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사회활동을 벌인 저항서인이다.
암울했던 일제시대 민족 광복을 위해
저항정신의 횃불을 밝힌 ‘나의 침실로’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등
부단한 시작활동을 통해 치열한 저항정신을 보여주었고
동시에 우리 민족 고유의 정서가 바탕이 된
투명하고 아름다운 시적 완성을 이루어 냈다.
일제의 칼날에 맞선 저항시로
나라 잃은 민족의 해방을 부르짖은 독립투사로
학생들에게 민족을 깨우쳐주던 스승으로
짧은 생을 불태운 시인 이상화
봄이 오기를 목 놓아 노래했던 시인 이상화는
제국주의 지배의 모순을 드러내며 현실 사회의 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사회활동을 벌인 저항서인이다.
암울했던 일제시대 민족 광복을 위해
저항정신의 횃불을 밝힌 ‘나의 침실로’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등
부단한 시작활동을 통해 치열한 저항정신을 보여주었고
동시에 우리 민족 고유의 정서가 바탕이 된
투명하고 아름다운 시적 완성을 이루어 냈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
지금은 남의 땅―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 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
내 맘에는 나 혼자 온 것 같지를 않구나
네가 끄을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답워라 말을 해 다오.
바람은 내 귀에 속삭이며
한 자욱도 섰지 마라 옷자락을 흔들고
종다리는 울타리 너머 아가씨같이 구름 뒤에서 반갑다 웃네.
고맙게 잘 자란 보리밭아
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던 고운 비로
너는 삼단 같은 머리를 감았구나 내 머리조차 가뿐하다.
혼자라도 가쁘게나 가자
마른 논을 안고 도는 착한 도랑이
젖먹이 달래는 노래를 하고 제 혼자 어깨춤만 추고 가네.
나비 제비야 깝치지 마라
맨드라미 들마꽃에도 인사를 해야지
아주까리 기름을 바른 이가 지심매던 그들이라 다 보고 싶다.
내 손에 호미를 쥐어 다오
살찐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을
발목이 시도록 밟아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강가에 나온 아이와 같이
짬도 모르고 끝도 없이 닫는 내 혼아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가느냐 우서웁다 답을 하려무나.
나는 온몸에 풋내를 띠고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로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령이 잡혔나 보다.
그러나 지금은―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이상화
지금은 남의 땅―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 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
내 맘에는 나 혼자 온 것 같지를 않구나
네가 끄을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답워라 말을 해 다오.
바람은 내 귀에 속삭이며
한 자욱도 섰지 마라 옷자락을 흔들고
종다리는 울타리 너머 아가씨같이 구름 뒤에서 반갑다 웃네.
고맙게 잘 자란 보리밭아
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던 고운 비로
너는 삼단 같은 머리를 감았구나 내 머리조차 가뿐하다.
혼자라도 가쁘게나 가자
마른 논을 안고 도는 착한 도랑이
젖먹이 달래는 노래를 하고 제 혼자 어깨춤만 추고 가네.
나비 제비야 깝치지 마라
맨드라미 들마꽃에도 인사를 해야지
아주까리 기름을 바른 이가 지심매던 그들이라 다 보고 싶다.
내 손에 호미를 쥐어 다오
살찐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을
발목이 시도록 밟아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강가에 나온 아이와 같이
짬도 모르고 끝도 없이 닫는 내 혼아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가느냐 우서웁다 답을 하려무나.
나는 온몸에 풋내를 띠고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로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령이 잡혔나 보다.
그러나 지금은―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逆天(역천) / 이상화
이때야말로 이 나라의 보배로운 가을철이다.
더구나 그림과도 같고 꿈과도 같은 좋은 밤이다.
초가을 열나흘 밤 열푸른 유리로 천장을 한 밤
거기서 달은 마중 왔다 얼굴을 쳐들고
별은 기다린다 눈짓을 한다.
그리고 실낱같은 바람은 길을 끄으려 바라노라
이따금 성화를 하지 않는가
그러나 나는 오늘밤에 좋아라 가고프지가 않다.
아니다 나는 오늘밤에 좋아라 보고프지도 않다.
이런 때 이런 밤 이 나라까지 복되게 보이는 저편 하늘을
햇살이 못 쪼이는 그 땅에 나서
가슴 밑바악으로 못 웃어 본 나는 선뜻만 보아도
철모르는 나의 마음 홀아비 자식 아비를 따르듯
불 본 나비가 되어
꾀이는 얼굴과 같은 달에게로 웃는 이빨 같은 별에게로
앞도 모르고 뒤도 모르고 곤두치듯 줄달음질을 쳐서 가더니.
그리하여 지금 내가 어디서 무엇 때문에 이 짓을 하는지
그것조차 잊고서도 낮이나 밤이나 노닐 것이 두려웁다.
걸림 없이 사는 듯하면서도 걸림뿐인 사람의 세상ㅡ
아름다운 때가 오면 아름다운 그때와 어울려
한 뭉텅이가 못 되어지는 이 살이ㅡ
꿈과도 같고 그림과도 같고
어린이 마음 위와 같은 나라가 있어
아무리 불러도 멋대로 못 가고
생각조차 못하게 지천을 떠는 이 설움
벙어리 같은 이 아픈 설움이
칡덩쿨같이 몇 날 몇 해나 얽히어 틀어진다.
보아라 오늘밤에 하늘이 사람 배반하는 줄 알았다.
아니다 오늘밤에 사람이 하늘 배반하는 줄도 알았다.
이때야말로 이 나라의 보배로운 가을철이다.
더구나 그림과도 같고 꿈과도 같은 좋은 밤이다.
초가을 열나흘 밤 열푸른 유리로 천장을 한 밤
거기서 달은 마중 왔다 얼굴을 쳐들고
별은 기다린다 눈짓을 한다.
그리고 실낱같은 바람은 길을 끄으려 바라노라
이따금 성화를 하지 않는가
그러나 나는 오늘밤에 좋아라 가고프지가 않다.
아니다 나는 오늘밤에 좋아라 보고프지도 않다.
이런 때 이런 밤 이 나라까지 복되게 보이는 저편 하늘을
햇살이 못 쪼이는 그 땅에 나서
가슴 밑바악으로 못 웃어 본 나는 선뜻만 보아도
철모르는 나의 마음 홀아비 자식 아비를 따르듯
불 본 나비가 되어
꾀이는 얼굴과 같은 달에게로 웃는 이빨 같은 별에게로
앞도 모르고 뒤도 모르고 곤두치듯 줄달음질을 쳐서 가더니.
그리하여 지금 내가 어디서 무엇 때문에 이 짓을 하는지
그것조차 잊고서도 낮이나 밤이나 노닐 것이 두려웁다.
걸림 없이 사는 듯하면서도 걸림뿐인 사람의 세상ㅡ
아름다운 때가 오면 아름다운 그때와 어울려
한 뭉텅이가 못 되어지는 이 살이ㅡ
꿈과도 같고 그림과도 같고
어린이 마음 위와 같은 나라가 있어
아무리 불러도 멋대로 못 가고
생각조차 못하게 지천을 떠는 이 설움
벙어리 같은 이 아픈 설움이
칡덩쿨같이 몇 날 몇 해나 얽히어 틀어진다.
보아라 오늘밤에 하늘이 사람 배반하는 줄 알았다.
아니다 오늘밤에 사람이 하늘 배반하는 줄도 알았다.
이상화(李相和) Yi Sang-hwa 1901-1943
일제의 칼날에 맞선 저항시로 나라 잃은 민족의 해방을 부르짖는 독립투사로 학생들에게 민족을 깨우쳐주던 스승으로 짧은 생을 불태운 시인 이상화
봄이 오기를 목 놓아 노래했던 시인 이상화는 제국주의 지배의 모순을 드러내며 혈신 사회의 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사회활동을 벌인 저항시인이다.
암울했던 일제시대 민족 광복을 위해 저항정신의 횃불을 밝힌 '나의 침실로'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등 부단한 시작활동을 통해 치열한 저항정신을 보여주었고 동시에 우리민족 고유의 정서가 바탕이 된 투명하고 아름다운 시적 완성을 이루어 냈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이상화
지금은 남의 땅―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
내 맘에는 내 혼자 온 것 같지를 않구나
네가 끌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답해라 말을 해다오.
바람은 내 귀에 속삭이며
한 자국도 서지 마라 옷자락을 흔들고
종다리는 울타리 너머 아가씨같이 구름 뒤에서 반갑다 웃네.
고맙게 잘 자란 보리밭아
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는 고운 비로
너는 삼단같은 머리를 감았구나 내 머리조차 가뿐하다.
혼자라도 가쁘게나 가자
마른 논을 안고 도는 착한 도랑이
젖먹이 달래는 노래를 하고 제 혼자 어깨춤만 추고 가네.
나비 제비야 조르지 마라
민들레 제비꽃에도 인사를 해야지
아주까리 기름을 바른 이가 김을 매는 그 들이라 다 보고 싶다.
내 손에 호미를 쥐어 다오
살찐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을
발목이 시리도록 밟아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강가에 나온 아이와 같이
짬도 모르고 끝도 없이 닫는 내 혼아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갔느냐 우습다 답을 하려무나.
나는 온몸에 풋내를 띄고
푸른 웃음 푸른 설음 어우러진 사이로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령이 지폈나보다.
그러나 지금은―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것네
역천(逆天) - 이상화
이때야말로 이 나라의 보배로운 가을철이다.
더구나 그림과도 같고 꿈과도 같은 좋은 밤이다.
초가을 열나흘 밤 열푸른 유리로 천장을 한 밤
거기서 달은 마중 왔다 얼굴을 쳐들고
별은 기다린다 눈짓을 한다.
그리고 실낱같은 바람은 길을 끄으려 바라노라
이따금 성화를 하지 않는가
그러나 나는 오늘밤에 좋아라 가고프지가 않다
아니다 나는 오늘밤에 좋아라 보고프지도 않다
이런 때 이런 밤 이 나라까지 복되게 보이는 저편 하늘을
햇살이 못 쪼이는 그 땅에 나서
가슴 밑바닥으로 못 웃어 본 나는 선뜻만 보아도
철모르는 나의 마음 홀아비 자식 아비를 따르듯
불 본 나비가 되어
꾀이는 얼굴과 같은 달에게로 웃는 이빨 같은 별에게로
앞도 모르고 뒤도 모르고 곤두치듯 줄달음질을 쳐서 가더니
그리하여 지금 내가 어디서 무엇 때문에 이 짓을 하는지
그것조차 잊고서도 낮이나 밤이나 노닐 것이 두려웁다
걸림 없이 사는 듯하면서도 걸림뿐인 사람의 세상-
아름다운 때가 오면 아름다운 그때와 어울려
한 뭉텅이가 못 되어지는 이 살이-
꿈과도 같고 그림과도 같고
어린이 마음 위와 같은 나라가 있어
아무리 불러도 멋대로 못 가고
생각조차 못하게 지천을 떠는 이 설움
벙어리 같은 이 아픈 설움이
칡넝쿨같이 몇 날 몇 해나 얽히어 틀어진다.
보아라 오늘밤에 하늘이 사람 배반하는 줄 알았다
아니다 오늘밤에 사람이 하늘 배반하는 줄도 알았다
일제의 칼날에 맞선 저항시로 나라 잃은 민족의 해방을 부르짖는 독립투사로 학생들에게 민족을 깨우쳐주던 스승으로 짧은 생을 불태운 시인 이상화
봄이 오기를 목 놓아 노래했던 시인 이상화는 제국주의 지배의 모순을 드러내며 혈신 사회의 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사회활동을 벌인 저항시인이다.
암울했던 일제시대 민족 광복을 위해 저항정신의 횃불을 밝힌 '나의 침실로'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등 부단한 시작활동을 통해 치열한 저항정신을 보여주었고 동시에 우리민족 고유의 정서가 바탕이 된 투명하고 아름다운 시적 완성을 이루어 냈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이상화
지금은 남의 땅―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
내 맘에는 내 혼자 온 것 같지를 않구나
네가 끌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답해라 말을 해다오.
바람은 내 귀에 속삭이며
한 자국도 서지 마라 옷자락을 흔들고
종다리는 울타리 너머 아가씨같이 구름 뒤에서 반갑다 웃네.
고맙게 잘 자란 보리밭아
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는 고운 비로
너는 삼단같은 머리를 감았구나 내 머리조차 가뿐하다.
혼자라도 가쁘게나 가자
마른 논을 안고 도는 착한 도랑이
젖먹이 달래는 노래를 하고 제 혼자 어깨춤만 추고 가네.
나비 제비야 조르지 마라
민들레 제비꽃에도 인사를 해야지
아주까리 기름을 바른 이가 김을 매는 그 들이라 다 보고 싶다.
내 손에 호미를 쥐어 다오
살찐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을
발목이 시리도록 밟아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강가에 나온 아이와 같이
짬도 모르고 끝도 없이 닫는 내 혼아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갔느냐 우습다 답을 하려무나.
나는 온몸에 풋내를 띄고
푸른 웃음 푸른 설음 어우러진 사이로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령이 지폈나보다.
그러나 지금은―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것네
역천(逆天) - 이상화
이때야말로 이 나라의 보배로운 가을철이다.
더구나 그림과도 같고 꿈과도 같은 좋은 밤이다.
초가을 열나흘 밤 열푸른 유리로 천장을 한 밤
거기서 달은 마중 왔다 얼굴을 쳐들고
별은 기다린다 눈짓을 한다.
그리고 실낱같은 바람은 길을 끄으려 바라노라
이따금 성화를 하지 않는가
그러나 나는 오늘밤에 좋아라 가고프지가 않다
아니다 나는 오늘밤에 좋아라 보고프지도 않다
이런 때 이런 밤 이 나라까지 복되게 보이는 저편 하늘을
햇살이 못 쪼이는 그 땅에 나서
가슴 밑바닥으로 못 웃어 본 나는 선뜻만 보아도
철모르는 나의 마음 홀아비 자식 아비를 따르듯
불 본 나비가 되어
꾀이는 얼굴과 같은 달에게로 웃는 이빨 같은 별에게로
앞도 모르고 뒤도 모르고 곤두치듯 줄달음질을 쳐서 가더니
그리하여 지금 내가 어디서 무엇 때문에 이 짓을 하는지
그것조차 잊고서도 낮이나 밤이나 노닐 것이 두려웁다
걸림 없이 사는 듯하면서도 걸림뿐인 사람의 세상-
아름다운 때가 오면 아름다운 그때와 어울려
한 뭉텅이가 못 되어지는 이 살이-
꿈과도 같고 그림과도 같고
어린이 마음 위와 같은 나라가 있어
아무리 불러도 멋대로 못 가고
생각조차 못하게 지천을 떠는 이 설움
벙어리 같은 이 아픈 설움이
칡넝쿨같이 몇 날 몇 해나 얽히어 틀어진다.
보아라 오늘밤에 하늘이 사람 배반하는 줄 알았다
아니다 오늘밤에 사람이 하늘 배반하는 줄도 알았다
근대路(로)의 여행
동산병원, 제일교회, 90계단, 빛의 하모니, 매일신문사, 계산성당, 제일교회, 약령시한의약박물관
동산병원, 제일교회, 90계단, 빛의 하모니, 매일신문사, 계산성당, 제일교회, 약령시한의약박물관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민족 저항 시인 / 이상화 고택
이상화는 일제강점기 비탄에 빠진 우리 정서를 시적 언어로 끌어올림으로써 한국 현대시의 이정표를 세운 민족시인입니다.
본 고택은 이상화가 말련(1939~1943)을 보냈고 그의 마지막 작품 '서러운 해조'가 탄생한 역사적인 장소로 이상화의 숨격을 곳곳에서 느낄 수 있습니다.
이상화는 일제강점기 비탄에 빠진 우리 정서를 시적 언어로 끌어올림으로써 한국 현대시의 이정표를 세운 민족시인입니다.
본 고택은 이상화가 말련(1939~1943)을 보냈고 그의 마지막 작품 '서러운 해조'가 탄생한 역사적인 장소로 이상화의 숨격을 곳곳에서 느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