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소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 산31
- 탐방로그
-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 산31에 위치한 전기항 선생 묘소를 찾았다. 전기항 선생의 묘소 옆에는 동학농민군 지도자 전기항 의사 추모비도 함께 위치해 있었다.
사적지 사진 상세설명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 산 31 금당실 뒤 오미봉 동학농민군지도자 전기항 의사 묘소를 찾아가고 있다.
동학농민군 지도자 전기항 의사 추모비
운량도감(運糧都監).의사 전기항의 묘
운량도감(運糧都監)
의사 전기항의 묘
의사 전기항의 묘
東學農民軍 指導者 全基恒 義士 追慕碑
동학농민군 지도자 전기항 의사 추모비
동학농민군 지도자 전기항 의사 추모비
東學農民軍 指導者 全基恒 義士 追慕碑
동학농민군 지도자 전기항 의사 추모비
동학농민군 지도자 전기항 의사 추모비
때는 바야흐로 나라 밖에서는 열강의 마수가 뻗어오고 있었으며 나라 안에서는 부패가 만연하고 폭압이 자행되고 있었다. 눈으로 보고 귀로 들은 백성들은 두 주먹을 불끈 쥐며 분노에 떨었노라. 백성은 하늘이라 했거늘, 짓밟고 못살게 구는 자 누구였던가? 이런 시절에 한 의사가 침략의 마수를 꺾고 부패와 폭압을 막으려 분연히 일어났으니 그 이름 청사에 빛나도다. 의사의 드높은 이름은 기항(基恒)이다. 의사는 용궁전씨(龍宮全氏)로 용성부원군 방숙의 후손이며 아버지 익렬과 어머니 손씨 사이의 둘째 아들로 187년(순조27) 안동군 풍천면 금계리에서 태어나셨도다. 의사는 학문과 효우(孝友)로 명성이 높았던 집안의 전통을 몸체 지켰으며 살림이 넉넉한 속에 남에게 베풀 줄 아는 후덕한 이로 널리 알려졌다. 게다가 도량이
넓고 용의가 출중하여 지도자의 품격을 지니고 있어서 전도야지(全刀也只)라는 애칭이 붙었다. 동학이 인시천(人是天)의 사상을 내걸고 "사람이 하늘이다"고 외치자, 하늘과 같은 사람들이 살 길을 찾아 모여 들었다. 예천에도 금당실, 맛질, 화지 등지에 동학 접소(接所)가 생겨 벼슬아치와 토호의 부정과 무도를 징치하려는 사람들이 구름처럼 모여 들었다. 의사는 일찌기 금당실 일대의 동학 지도자가 되었다. 1894년 봄 전봉준이 처음 전라도 땅에서 반봉건(反封建) 반외세(反外勢)의 기치를 내걸고 봉기의 횃불을 들자 전국적으로 요원의 불길처럼 번져나갔다. 예천 땅에서도 이 해 음력 8월 일대 봉기를 결행했도다. 의사는 금다실 지역에서 운량도감(運糧都監)의 소임을 맡아 군량미 조달의 책임을 졌도다. 68세의 나이인데도 그의 의기는 죽지 않았으니 장하도다. 의기로만 뭉쳐진 수천 명의 예천 동학농민군은 수접주 최맹순과 군사 지도자 윤치문의 지도 아래 일본의 침략 마수를 꺾기 위해 옷깃을 떨치고 일제히 일어섰다. 이른바 농민군을 토벌하려고 만든 집강소의 민보군(民堡軍)과 한내에서 큰 싸움을 벌였지만 무기의 열세로 인해 처절하게 패배하고 말았다. 하나 이는 상주와 함께 경상북도 일대에서 벌어진 가장 격렬했던 전투였다. 관군과 민보군은 동학농민군을 잡는대로 효수와 생매장을 해댔다. 아아, 무슨 원혐(怨嫌)이 있길래 외적을 앞에 두고 동족끼리 이런 잔혹한 짓거리를 했던가. 의사는 몸을 빼서 산속이나 농막을 전전하면서 온갖 고초를 겪으며 살았다. 끝내 1900년 나라가 더욱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하는 모습을 보며 한많은 목숨을 거두었도다. 임들은 한을 남겄으나 오늘을 사는 우리들은 임들의 구국정신을 민주와 통일의 밑거름으로 삼고, 역
사이 교훈으로 받들고 있도다. 아들 영진 제진, 손자 일호, 증손 상훈 상은, 현손 장홍 희집 희도 희영 희삼을 두었고, 장홍은 아들 재현 재국 재구, 희집은 아들 재호 재철, 희도는 아들 재민 희삼은 아들 재진을 두었다. 번성할진져.
의사의 구국일념을 기려서 그 행적을 여기에 적어 후대에 전하노라.
동학농민전쟁 백주년이 지난 두 번째 해에 역사문제연구소 소장 이이화 글짓고 민족문학 소설가 박치대 글씨썼으며 예천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회가 세우다.
의사의 구국일념을 기려서 그 행적을 여기에 적어 후대에 전하노라.
동학농민전쟁 백주년이 지난 두 번째 해에 역사문제연구소 소장 이이화 글짓고 민족문학 소설가 박치대 글씨썼으며 예천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회가 세우다.